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림청 실시간 산불정보, 산불 실시간 CCTV 보는 방법

by 똑소리돌피니 2025. 4. 3.

산림청 실시간 산불정보 화면

역대 3번째로 피해 규모가 컸던 경북 산불이 일어났던 3월.

무섭게 퍼지는 불씨들을 보면서 '아, 어쩜'이라고 한탄과 안타까움으로 여기저기 실시간 카메라를 들여다봤네요.

축구장 1만 개 면적이 잿더미로 만든 괴물산불이 다. 행. 이. 90% 이상 진화되고 있다고 해요.

그런데, 산불이 많이 발생하는 달이 3~4월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최근 10년간 월별 산불 현황 그래프 사진
최근 10년간 월별 산불 현황(출처:행정안전부)

 

 

산림청 실시간 산불정보

산림청 실시간 산불정보 시스템은 전국의 산불 발생 현황과 진화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현재 산불이 발생한 위치, 규모, 진화율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산불 위험 예보도 제공되어 사전 대비가 가능합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전국 산불 현황 지도, CCTV 영상 제공, 산불 경보 알림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산불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돕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산림청 바로가기

산림청 실시간 산불정보 홈페이지 첫화면

 

산불 실시간 CCTV 보는 방법

산불 실시간 CCTV는 산림청의 산불 상황관제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산림청 산불방지 누리집(fd.forest.go.kr) 또는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정보시스템(forestfire.nifos.go.kr)에 접속하면 실시간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살필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지역은 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조회할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제공기관 실시간 산불 CCTV 정보
산림청 https://fd.forest.go.kr/ffas/ CCTV 지역별 영상
국가교통정보센터 https://www.its.go.kr/  도로·국도 영상
네이버 https://weather.naver.com/forestfire/02273535 CCTV 지역별 영상
KBS 재난포털 https://d.kbs.co.kr/ 현장 CCTV

 

 

산림청 실시간 산불정보 기능

전국에 산불이 나는지 위험 지수는 물론 영상까지 제공해 주는 <실시간 산불정보>은 어떤 기능을 할까요?

  • 산불 위험 예보: 전국 각 지역별 산불 위험 지수를 제공하여, 산불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 주민들은 미리 대비할 수 있습니다.
  • 전국 산불 현황: 현재 발생 중인 산불의 위치, 규모, 진화율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현재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CCTV 영상 제공: 일부 지역에서는 산불 발생 지역의 실시간 CCTV 영상을 제공하여, 현장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산불의 확산 여부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알림 서비스: 산림청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산불 발생 시 즉각적인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속한 대피와 대응이 가능합니다.

산림청 실시간 산불정보 지도 사진

 

산불 발생 시 국민 행동 요령

산불이 발생하면 빠른 판단과 신속한 대피가 가장 중요합니다. 다음의 대피 요령을 숙지하고 실천하면 생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1. 산불 발견 즉시 신고

산불을 목격하면 119 또는 산림청(042-481-4119)에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정확한 위치와 불길의 크기, 바람 방향 등을 알려주면 신속한 진화에 도움이 됩니다.

2. 대피할 때 유의할 점

  • 불길이 번지는 방향을 파악하고 바람이 부는 반대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합니다.
  • 산불보다 높은 곳은 위험하므로 계곡이나 낮은 제대로 이동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몸에 물을 적시고 젖은 천으로 입과 코를 막아 연기 흡입을 최소화합니다.
  • 불이 난 지역에서 멀리 이동할 수 없다면 큰 바위 뒤, 물가 근처, 불이 번지기 어려운 곳(도로변, 논밭 등)으로 피합니다.

3. 차량 이용 시 주의 사항

  • 차량이 산불에 둘러싸일 위험이 있으면 즉시 차에서 내려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도로 주행 중이라면 불길이 없는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합니다.
  • 차량 내 공기를 순환시키지 않고 창문을 닫아 연기가 차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합니다.

4. 대피 후 행동

  • 안전한 장소에 도착하면 소방 당국의 지시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를 취합니다.
  • 산불 진화 후에도 다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함부로 화재 지역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 지역 주민들은 재난 방송과 산림청 실시간 산불정보를 확인하며 추가적인 위험이 없는지 주시해야 합니다.

빠른 판단과 신속한 대피가 산불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경북·경남·울산> 산불 진화율

아래 버튼을 눌러 확인해 보세요

▼     

식목일 공휴일 확인하기

     

봄이 오는 4월에는 의미 있는 식목일도 있는 날이죠. 나무를 심고 가꾸는 일이 산불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라고 하죠.

대마침 뉴스에 산불피해 지역에 대한 진화율이 완료가 되었다는 기쁜 소식을 봤네요.

날짜 진화율 비고
2025년 3월 22일    산불 발생
2025년 3월 23일 /오후 1시 51% 의성 지역 기준
2025년 3월 27일 /오후 6시 63% 경북·경남·울산 평균
2025년 3월 28일 /오전 5시 85% 경북·경남·울산 평균
2025년 3월 28일 /낮 12시 94% 경북·경남·울산 평균
2025년 3월 28일 /오후 5시 주불 진화 완료  

 

 

최근 경북 지역의 산불은 우리에게 산불의 위험성과 그에 따른 대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었습니다. 산림청의 실시간 산불정보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산불 예방과 대응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